목록분류 전체보기 (143)
고마구의 개발 블로그
Scanner sc=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("문자열을 입력하세요: "); String str= sc.nextLine(); if (str.contains("java")) { ////java문자열이 들어 있으면 true System.out.println("java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"); }else { System.out.println("java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."); }str.contains("java") // 문자열str에 java문자열이 있으면 true를 반환하는 함수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ZZ0R/btsG4VQQcMN/nTxAkEX9cdww2KKkW2qOk0/img.jpg)
Arrays.toString(arr1); //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만든다.예제int a[]={12,1,53,6,85,3};System.out.println(Arrays.toString(a)); tree클래스를 배열로 선언하여 여러개의 데이터를 넣은후 출력해 보자.Tree arr[]= new Tree[3];arr[0]= new Tree();arr[0].name="Papaya";arr[0].price=375;이하 생략 아래 이미지는 위 배열을 스택과 힙구조로 나타낸 것이다.
- 클래스는 관련 있는 데이터를 묶어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이다. - 인스턴스는 클래스를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실제로 생성한 상태를 의미한다.-new 연산자를 사용하면 클래스안에 선언한 변수(필드)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heap(힙) 메모리 영역에 잡힌 다음, 잡힌 메모리 시작 주소가 클래스 변수에 저장된다. 1. ‘안녕’를 입력하면 ‘너도 안녕’ ‘잘자’ 입력하면 ‘너도 잘자’ ‘잘가’ 가 입력되면 ‘너도 잘가’가 출력되도록 프로그램을 구현해 보자.힌트) 문자열의 비교는 ==으로 하지 말고 .equals를 사용해서 해보자.String a1= new String(“소나타”);a1== “소나타”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안되고 a1.equals(“소나타”); 이런식으로 ..
1.String.format()은 매개변수를 가지고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어 주는 일을 하는 메소드이다.예제)int age=156;String name="hong";double height=175.3;System.out.println(String.format("나이는 %d, 이름은 %s, 키는 %.1f 입니다.", age, name, height)); -메모리는 3개로 분리되어 있다. (메소드, 스택, 힙)각 메모리의 특징은 메소드 영역 - 실행코드, 전역변수 스택영역 - 지역변수 힙영역-상수풀,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은 데이터(참조형 데이터의 실제 데이터 (new))-메모리를 분리해서 쓰는 이유는 속력 향상을 위해서(+안정성 향상)메소드영역은 한번 등록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까지 계속 등록되어서 지속..
형변환을 배움형변환+입력java.util.Scanner sc=new java.util.Scanner(System.in);double d=Double.parseDouble(sc.nextLine());
연산자 계산은 $$가 ||보다 우선한다. public class MyClass { // final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수 정의 public static final 자료형선택 CONSTANT_NAME = 문자상수에넣을값;}final: 한 번 할당되면 값을 변경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. 클래스는 대문자로 시작하고 변수명은 여러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후 나오는 단어의 첫 번째 알파벳을 대문자로 기술한다.패키지는 모두 소문자를 사용해야 한다.
각 자료형의 상수표현 방법을 설명하시오.-byte형이라면 -128~127, short형이라면 -32768 ~ 32767, int형 자료형이라면 -2147483648 ~ 2147483647 사이의 숫자를 앞뒤에 아무것도 붙이지 않고 그대로 기술한다.-boolean자료형은 true, false값 밖에 없다. 문자열로 true, false라고 기술 System.out.print(true)-숫자 끝에 대문자 L, 소문자 l를 붙이면 long형 정수 상수가 된다. print(1212L) -float형 자료형 상수는 숫자의 끝에 f,F를 붙이면 된다. print(1212f) -소수점이 있는 수를 아무것도 붙이지 않고 사용하면 double상수가 된다. print(121.2) -char상수 형은 원하는 문자 하나를 ‘..